티스토리 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의 이해 및 증상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는 주로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며 일반적인 사람들은 1~2주 안에 회복되는 반면 영유아나 노인은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출생 이후 2년 이내에 모든 어린이가 감염을 경험하고 그중 30% 가까이는 세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늦은 가을부터 겨울에 많이 발생합니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전파 경로는 주로 호흡, 기침, 재채기, 콧물 및 오염된 손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바이러스가 뭍은 손잡이나 리모컨, 장난감 등을 만진 후 손으로 눈이나 코, 입 등을 만져서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대화를 통해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감염 후 잠복기를 거쳐 4~6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어린이에게서 보이는 증상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일반 감기와 증상이 유사합니다. 열이 나고 기침,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1~2주면 회복이 가능합니다. 신생아와 영유아의 주요 증상은 보채거나 늘어지고 38도 이상의 발열과 숨 가쁨, 빠른 호흡과 쌕쌕거리는 숨소리, 수유 시 잘 못 먹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단계적으로 시작됩니다. RSV는 주로 2살 이하 영유아에게는 기관지염 증상이 나타나며, 고위험군 영유아에게는 폐렴이나 세기관지염 등 중증으로 진행되기도 하니 빠른 진료와 검사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실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에 대한 특정 치료약은 없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 완화를 위해 약물 없이 대증 치료로 이루어집니다. 대부분 휴식과 수분 섭취를 유지하고 기침 완화제나 해열제를 사용하여 호흡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지거나 거친 호흡, 숨을 쉴 때 콧구멍이 벌렁거림, 청색증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보이거나 탈수 증상이 보이는 경우에는 입원하여 수액요법, 호흡관찰, 산소 공급, 호흡기 분비물 제거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을 위해서는 감기나 호흡기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많이 만지는 장난감이나 물건을 자주 소독하고, 손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손소독제를 사용하며, 증상 초기에 아프면 집에서 쉬어야 하며, 감염된 장소에 가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아이 및 면역력 약한 경우 사람들과 접촉 시 주의해야 합니다. 영유아, 조산아, 노인, 면역력이 약한 환자 및 심장 또는 폐 질환을 가진 사람은 RSV 감염에 더 위험합니다. 정부에서는 중증 감염의 고위험군 대상으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항체를 주사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계절인 10월~3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면 Palivizumab을 한 달에 한 번씩 총 5회 투약할 수 있습니다. RSV 수동면역 대상자에 해당하는 경우는 담당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의하시면 됩니다.
< RSV 수동면역 대상 (Palivizumab 요양급여 적용 기준) >
1. 생후 6개월 이하(2023년 4월 1일 이후 출생)이면서 재태기간 32주 미만(31주+6일)으로 태어난 소아 2. 다음 감염 위험인자를 모두 만족하는 재태기간 36주 미만(35주+6일)으로 태어난 소아 1) RSV가 유행하는 계절인 10월~3월 출생 2) 1명 이상의 손위 형제 또는 손위 자매가 있는 경우 3. RSV가 유행하는 계절인 10월~3월 시작 6개월 이내에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가 필요했던 만 2세 미만(24개월)의 소아 4. 혈류역학적으로(Hemodynamically)유의한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만 2세 미만(24개월)의 소아 1) 울혈성 심부전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2) 중등도 및 중증의 폐동맥 고혈압이 있는 경우 3) 청색성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